희년(禧年, Jubilee)은 성경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개념으로, 특히 레위기 25장에 자세히 나와 있어요. 희년은 50년마다 찾아오는 해로,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회복과 자유, 안식을 의미하는 특별한 해였습니다.
📖 희년의 배경과 성경적 근거
희년은 레위기 25:8–55에 등장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정착한 후, 매 7년마다 안식년을 지켰고, 7번째 안식년이 지난 그 다음 해, 즉 50년째 되는 해가 ‘희년’입니다.
"너희는 일곱 안식년, 곧 일곱 번의 일곱 해를 계수하되… 제 오십 년째 해를 거룩하게 하여…" (레위기 25:8-10)
🕊 희년의 핵심 내용
1. 자유 선포
희년이 되면 모든 이스라엘 사람에게 자유가 선포됩니다.
예를 들어, 빚을 갚지 못해 종이 된 사람은 해방되고,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었어요.
2. 토지의 회복
본래의 소유자에게 토지가 반환됩니다.
이스라엘에서 땅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므로, 사람이 영구 소유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어요.
따라서 팔았던 땅도 희년이 되면 본래 주인에게 돌아갑니다.
3. 경제적 재조정
희년은 부의 불균형을 바로잡고 가난한 자가 영원히 고통받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였습니다.
땅 거래도 “희년까지 남은 해 수”를 기준으로 계산됐습니다 (레 25:15–16).
4. 노동과 휴식
희년에도 농사를 짓지 않고 땅을 쉬게 해야 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공급하심을 신뢰하는 믿음의 행위이기도 했어요.
✨ 신학적, 영적 의미
희년은 회복, 자유, 용서, 새 시작의 상징이에요.
신약에서는 예수님이 희년의 완성자로 오셨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예수님이 공생애 첫 설교에서 이사야 61장을 인용하며 "은혜의 해를 선포하러 오셨다"고 말씀하신 부분(누가복음 4:18-19)이 대표적입니다.
이를 통해 예수님은 죄에서의 자유와 영적 회복을 가져오신 분으로 이해돼요.
💬 요약하면
항목 내용
주기 50년마다
의미 자유, 회복, 안식
실행 방식 토지 반환, 종 해방, 농사 중지
'성경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라가(רֵיקָא, rêqā') - 마태복음 5:22 (0) | 2025.04.14 |
---|---|
고엘 제도(Goel, גֹּאֵל) (0) | 2025.04.14 |
두나미스(δύναμις, Dynamis) (0) | 2025.04.03 |
렙돈(Lepton)/데나리온(Denarius)/세겔(Shekel)/달란트(Talent) (0) | 2025.04.03 |
엔게디(En Gedi) (0) | 2025.03.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