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성경 용어

희년(禧年, Jubilee)

by commandments 2025. 4. 14.
반응형

희년(禧年, Jubilee)은 성경에서 중요한 의미를 가지는 개념으로, 특히 레위기 25에 자세히 나와 있어요. 희년은 50년마다 찾아오는 해, 이스라엘 백성에게는 회복과 자유, 안식을 의미하는 특별한 였습니다

 

 

 

📖 희년의 배경과 성경적 근거

희년은 레위기 25:855에 등장합니다.

이스라엘 백성이 가나안 땅에 정착한 후, 7년마다 안식년을 지켰고, 7번째 안식년이 지난 그 다음 해, 50년째 되는 해가 희년입니다.

"너희는 일곱 안식년, 곧 일곱 번의 일곱 해를 계수하되… 제 오십 년째 해를 거룩하게 하여…" (레위기 25:8-10)

 

 

🕊 희년의 핵심 내용

1. 자유 선포

희년이 되면 모든 이스라엘 사람에게 자유가 선포됩니다.

예를 들어, 빚을 갚지 못해 종이 된 사람은 해방되고, 가족의 품으로 돌아갈 수 있었어요.

 

2. 토지의 회복

 

본래의 소유자에게 토지가 반환됩니다.

이스라엘에서 땅은 하나님께 속한 것이므로, 사람이 영구 소유할 수 없는 것으로 여겨졌어요.

따라서 팔았던 땅도 희년이 되면 본래 주인에게 돌아갑니다.

 

3. 경제적 재조정

희년은 부의 불균형을 바로잡고 가난한 자가 영원히 고통받지 않도록 하는 제도적 장치였습니다.

땅 거래도 희년까지 남은 해 수를 기준으로 계산됐습니다 (25:1516).

 

4. 노동과 휴식

희년에도 농사를 짓지 않고 땅을 쉬게 해야 했습니다.

이는 하나님의 공급하심을 신뢰하는 믿음의 행위이기도 했어요.

 

 

신학적, 영적 의미

 

희년은 회복, 자유, 용서, 새 시작의 상징이에요.

신약에서는 예수님이 희년의 완성자로 오셨다는 해석도 있습니다.

예수님이 공생애 첫 설교에서 이사야 61장을 인용하며 "은혜의 해를 선포하러 오셨다"고 말씀하신 부분(누가복음 4:18-19)이 대표적입니다.

이를 통해 예수님은 죄에서의 자유와 영적 회복을 가져오신 분으로 이해돼요.

 

💬 요약하면

항목 내용

주기 50년마다

의미 자유, 회복, 안식

실행 방식 토지 반환, 종 해방, 농사 중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