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 용어
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 Ekklesia)
commandments
2025. 5. 15. 21:35
반응형
성경 속에서“에클레시아(ἐκκλησία, Ekklesia)”는 우리가 흔히 말하는 **“교회”**를 뜻하지만, 단순히 건물이나 제도적 교회를 말하는 것이 아닙니다. 이 단어는 초기 기독교 공동체의 정체성을 이해하는 데 핵심이 되는 중요한 개념이에요. 아래에 자세히 설명드릴게요.
1. 어원과 기본 의미
- 헬라어 ἐκκλησία (ekklēsia)
- 구성:
- ἐκ (ek) = “밖으로”
- καλέω (kaleō) = “부르다”
- 직역하면 “밖으로 불러낸 사람들의 모임”, 즉 **“소집된 회중”**이라는 의미입니다.
고대 그리스 세계에서의 의미
- 도시의 시민들이 모여 공공 사안을 결정하는 회의체를 ‘에클레시아’라 불렀습니다.
- 예: 아테네의 에클레시아 = 시민 민회
2. 구약 성경과 에클레시아
히브리어 “카할(קָהָל, qāhāl)” = 회중, 집회, 모임
- 이것이 헬라어 70인역 성경(LXX)에서 ἐκκλησία로 번역됨
- 하나님께서 부르신 이스라엘 공동체를 가리킴
★ 예
- 신명기 9:10 – “여호와께서 총회 날에 산 위에서… 너희에게 이르신 말씀” → “총회(카할/에클레시아)”는 하나님의 백성의 모임
3. 신약 성경에서의 사용
신약에서 "에클레시아"는 무려 114회 등장하며, 거의 대부분 “교회”로 번역됩니다.
용례 구분
구분설명예시
보편적 교회 | 전 세계 성도들의 공동체 (보이는 교회 + 보이지 않는 교회) | 마 16:18 – “내가 이 반석 위에 내 교회를 세우리니…” |
지역 교회 | 특정 지역의 신자 공동체 | 고전 1:2 – “고린도에 있는 하나님의 교회” |
가정 교회 | 개인 가정에서 모이는 교회 | 롬 16:5 – “저희 집에 있는 교회에게도 문안하라” |
4. 신학적 의미와 정체성
★ 에클레시아는 단순한 건물이 아님
- 교회는 건물이 아니라 사람들, 즉 그리스도께서 부르신 공동체입니다.
- 교회의 핵심은 그리스도 안에서 불러냄을 받은 자들의 연합체입니다.
★ 에클레시아의 네 가지 속성 (고대 신조 기준)
- 하나 (One): 성령 안에서 하나된 공동체
- 거룩 (Holy): 세상과 구별되어 하나님께 속한
- 보편 (Catholic): 인종·국경을 초월한 공동체
- 사도적 (Apostolic): 사도의 가르침 위에 선 교회
5. 현대 교회 이해에 주는 시사점
오해성경적 이해
교회 = 건물, 제도 | 교회 = 부르심 받은 자들의 공동체 |
신앙은 개인적 | 교회는 공동체적 믿음의 삶 |
교회는 예배 드리러 가는 곳 | 교회는 우리가 속한 삶의 공동체 |
교회는 목회자 중심 | 교회는 모든 성도가 제사장 (벧전 2:9) |
요약 정리
항목설명
단어 | 에클레시아 (ἐκκλησία) = 부르심 받은 자들의 모임 |
어원 | ἐκ (밖으로) + καλέω (부르다) |
구약 배경 | 히브리어 "카할"의 헬라어 번역 |
신약 사용 | 지역 교회, 보편 교회 모두 지칭 |
의미 | 예수 그리스도를 중심으로 모인 공동체 |
특징 | 공동체성, 사명, 성령 안에서의 연합 |
대표 성경 구절
- 마태복음 16:18 – “내가 이 반석 위에내 교회(ἐκκλησίαν)를 세우리니…”
- 에베소서 5:25 – “그리스도께서 교회를 사랑하시고 그 교회를 위하여 자신을 주셨습니다”
- 사도행전 2:47 – “주께서 구원받는 사람을 날마다 더하게 하시니라” → 교회 공동체의 시작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