궁금한 용어

I am = ἐγώ εἰμι (egō eimi) /헬라어

commandments 2025. 5. 15. 20:42
반응형

영어의 "I am"에 해당하는 헬라어(고대 그리스어)는 문맥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일반적으로 ἐγώ εἰμι (egō eimi) 라고 표현됩니다. 이 표현은 성경에서 매우 중요한 신학적 의미를 갖고 있어서 더 자세히 설명해 드릴게요.


1. 기본 구성

  • ἐγώ (egō): "나" (I) — 인칭대명사
  • εἰμι (eimi): "이다", "존재하다" — 동사 εἰμί의 1인칭 단수 현재 직설법

그래서 ἐγώ εἰμι는 직역하면 "나는 있다", "나는 존재한다", 또는 간단히 **"나는 ~이다(I am)"라는 뜻입니다.


2. 성경에서의 사용 예시

1) 출애굽기 3:14 (헬라어 구약 성경 - 70인역)

  • 히브리어 원문: אֶהְיֶה אֲשֶׁר אֶהְיֶה (Ehyeh Asher Ehyeh) = "나는 스스로 있는 자이다" 또는 "나는 나다"
  • 70인역(헬라어): ἐγώ εἰμι ὁ ὤν
    • 직역: "나는 존재하는 자다" 또는 "나는 있는 자다"
    • ὁ ὤν은 현재분사형으로 "존재하는 자", "있는 자"를 뜻합니다.

2) 요한복음에서의 예수님의 사용

예수님은 요한복음에서 여러 차례 ἐγώ εἰμι를 사용하시며, 자신의 신성을 암시하십니다:

  • 요 8:58 – «πρὶν Ἀβραὰμ γενέσθαι, ἐγώ εἰμι.»
    "아브라함이 나기 전부터 나는 있다."
    → 예수께서 자신을 하나님과 동일한 존재로 드러내셨다고 이해되어, 유대인들이 돌을 들려 함.
  • 요 6:35 – «ἐγώ εἰμι ὁ ἄρτος τῆς ζωῆς»
    "나는 생명의 떡이다"
  • 요 14:6 – «ἐγώ εἰμι ἡ ὁδὸς καὶ ἡ ἀλήθεια καὶ ἡ ζωή»
    "나는 길이요 진리요 생명이다"

3. 문법적 분석

  • εἰμί는 고대 그리스어 동사 중 가장 기본적인 **"be 동사"**입니다. 다음은 εἰμί 동사의 현재 직설법 변화입니다:
인칭헬라어번역
1인칭 단수 εἰμί 나는 있다 (I am)
2인칭 단수 εἶ 너는 있다 (You are)
3인칭 단수 ἐστίν 그는/그녀는 있다 (He/She/It is)
1인칭 복수 ἐσμέν 우리는 있다 (We are)
2인칭 복수 ἐστέ 너희는 있다 (You all are)
3인칭 복수 εἰσίν 그들은 있다 (They are)
 

4. 신학적 중요성

"ἐγώ εἰμι"는 단순한 자기소개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특히 요한복음에서 예수님이 이 표현을 반복하여 사용하신 것은, 출애굽기에서 하나님의 자기계시를 인용하거나 반영한 것으로 여겨지며, 이는 예수의 신성과 존재론적 선언을 의미한다고 해석됩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