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비행기에서 위기 상황을 알릴 때 조종사(파일럿)는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비상 통신 신호를 사용하여 상황의 심각성을 알립니다. 이 신호들은 무선 교신을 통해 항공 교통 관제사(ATC)와 다른 항공기 및 구조 기관에 전달됩니다. 비행기 위기 상황에서 사용하는 대표적인 신호로는 메이데이(Mayday)와 팬팬(Pan-Pan)이 있습니다.
1. 메이데이(Mayday)
- 의미: 가장 심각한 비상 상황에서 사용되며, 즉각적인 구조가 필요한 경우 사용됩니다. 이는 항공기와 탑승객의 생명이 위험에 처했을 때 주로 사용되며, 그 상황은 매우 급박하고 긴급한 구조가 필요함을 의미합니다.
- 유래: 프랑스어 “m'aidez”에서 유래, 이는 "도와달라"는 의미입니다.
- 사용 예시:
- 상황: 항공기 엔진 고장, 화재, 급격한 기체 결함, 기내 응급 환자 등이 발생한 경우
- 통신 방식: 보통 "메이데이"라는 신호를 세 번 연속으로 말합니다.
- 예: "Mayday, Mayday, Mayday. This is [항공기 호출 부호], we are experiencing engine failure, requesting immediate assistance."
메이데이 호출 시 정보 제공
- 항공기 호출 부호 (예: 비행기 등록번호, 항공편 번호)
- 항공기 위치 (위도 및 경도, 고도, 근처 공항 등)
- 비상 상황의 본질 (예: 엔진 고장, 기체 결함, 기내 응급 상황 등)
- 승객 및 승무원 상태 (예: 부상자 유무, 응급 의료 필요 여부)
- 조치 요구 (예: 즉각적인 착륙 허가, 의료 지원 등)
2. 팬팬(Pan-Pan)
- 의미: 긴급하지만 생명이 즉각적으로 위협받지 않는 상황에서 사용됩니다. 이는 문제를 해결해야 하지만, 메이데이 수준의 심각성은 아니며, 다만 상황이 악화될 가능성이 있으므로 주의를 요하는 상황입니다.
- 유래: 프랑스어 "panne"에서 유래, 이는 "고장"을 의미합니다.
- 사용 예시:
- 상황: 항공기 시스템 고장(예: 통신 장비 고장, 연료 부족, 기내 특정 장비 문제), 응급 상황이지만 즉각적인 구조가 필요하지 않을 때
- 통신 방식: "팬팬" 신호 역시 세 번 연속으로 외칩니다.
- 예: "Pan-Pan, Pan-Pan, Pan-Pan. This is [항공기 호출 부호], we have lost one engine, request priority landing."
팬팬 호출 시 정보 제공
- 항공기 호출 부호
- 항공기 위치
- 긴급 상황의 성격 (예: 장비 고장, 연료 부족 등)
- 추가 조치 요구 사항 (예: 우선 착륙 허가)
3. 스쿼크 코드 7700 (비상 코드)
- 의미: 조종사가 무선 통신이 어려운 경우, 트랜스폰더(항공기 위치를 알리는 장치)에 특정 숫자 코드를 입력하여 비상 상황임을 자동으로 알릴 수 있습니다. 7700 코드는 항공기가 비상 상황임을 알리는 코드로, 지상 관제사가 즉시 이를 인식하고 비상 대응을 시작합니다.
- 사용 예시
- 통신 장비 고장으로 메이데이 호출이 불가능할 때
- 즉각적인 구조 요청 시
4. 스쿼크 코드 7600 (통신 두절)
- 의미: 조종사와 지상 관제사 간의 무선 통신이 두절된 경우에 사용됩니다. 통신 장비 고장이 발생했을 때 입력하여, 항공기가 통신 불능 상태임을 알립니다.
- 사용 예시:
- 항공기 통신 장비 고장, 통신 두절 시
5. 스쿼크 코드 7500 (항공기 납치)
- 의미: 항공기가 납치(하이재킹) 되었음을 알리는 비밀 코드입니다. 조종사가 이를 트랜스폰더에 입력하면, 지상 관제는 항공기가 납치되었음을 인지하고 긴급 대응을 시작합니다.
- 사용 예시
- 항공기 납치 시
비상 상황에서의 순서
비상 상황에서 파일럿은 Aviate (비행 유지), Navigate (항로 유지), Communicate (통신) 순서로 행동합니다. 즉, 가장 먼저 비행기를 안전하게 제어하고, 그다음 비행 경로를 유지하며, 마지막으로 비상 신호를 보냅니다.
비상 신호의 차이 요약
신호의미사용 조건
메이데이 | 생명에 위협이 있는 가장 심각한 비상 상황 | 즉각적인 구조 필요 |
팬팬 | 긴급하지만 생명에 직접적인 위협은 없는 상황 | 주의가 필요한 긴급 상황 |
스쿼크 7700 | 비상 상황 알림 | 통신이 불가할 때 |
스쿼크 7600 | 통신 두절 알림 | 무선 통신이 불가능할 때 |
스쿼크 7500 | 항공기 납치 알림 | 항공기 납치 시 |
이처럼, 조종사들은 상황에 맞는 적절한 비상 신호를 사용하여 관제사 및 구조 당국과 신속하게 소통하고, 가능한 빠른 시간 내에 구조 조치를 받도록 합니다.
반응형
'궁금한 용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메멘토 모리(Memento Mori) (0) | 2025.01.10 |
---|---|
마두금(馬頭琴) (0) | 2025.01.10 |
Brain rot / 브레인롯(영) / 브레인랏(미) (0) | 2024.12.30 |
"카탈뤼마"(κατάλυμα, kataluma) (0) | 2024.12.30 |
객체지향 프로그래밍(Object-Oriented Programming, OOP) (0) | 2024.12.13 |